제왕의 책
윤희진
황소자리
<제왕의 책>과의 특별한 만남~!
책을 좋아하기 때문일까? 제목에 '책'이라는 글자가 박혀 있다 싶으면 웬지 한번 더 눈길이 가는 것은. <제왕의 책>을 만났다. 책장을 펼치기 전부터 기대감을 품었던 이유는, 앞서 말했듯 제목에 '책'이라는 글자가 있었던 탓도 있지만, 제왕이 좋아했던 책들, 제왕이 주로 읽었던 책들은 무엇이었을까에 관심이 갔기 때문이다.
그러고보니, 내가 주로 접했던 역사서에서 다루었던것은 주로 인물에 관한 것이었다. 인물의 업적이나 행적을 주로 다루었는데 이번 책에서는 거기다 '책'이라는 요소가 가미되어 웬지 모르게 들떴던것 같다. '제왕'과 '책'이라는 특별한 두 존재의 만남, 그 속으로 들어가보자.
이 책에서 나는 광종, 태종, 세종, 성종, 연산군, 선조, 효종, 영조, 정조, 고종을 만났다. 책속의 대부분의 왕들은 우리가 수없이 접했던 드라마속, 영화속, 소설속 인물들과 겹친다. 그래서 더 읽기가 수월했던지도 모르겠다. 소설이나 드라마에서 만난 인물들은 재구성된 인물이긴 해도 역사의 뼈대-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서에 기록된 진실-는 왜곡되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그 역사서를 누가 기록했느냐에 따라, 우리가 모르는 그 어떤 역사의 이면이 숨겨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사실 처음에 책을 읽을땐 조금 딱딱하다는 생각이 들었더랬다. 국사 교과서를 읽는듯한 느낌이랄까. 딱딱하고 교과서적인 문체가 조금은 지루하기도 했다. 그런데, 몇장을 넘기고 책속에 빠져들자, 중간 중간 일화도 언급되고, 내가 알지 못했던 왕에 대한 부분에서는 눈이 빛나기 시작했다. 역사서라 그런지 교과서적인 문체를 벗어날수는 없었지만, 저자가 제왕과 그 책에 관련된 내용을 조사하느라, 얼마나 많은 시간을 들였는지 알것 같았다. 더불어 몰랐던 역사의 또 다른 면을 들여다 보았다는 점에서 웬지 모르게 뿌듯했다.
그러나, 저자 역시 말했든 이 책을 덮은후 아쉬운 점도 있었더랬다. 고려시대의 왕들을 많이 다루지 못했으며, 책속에서 다루고 있는 인물들은 우리가 자주 접했던 왕이라는 점이다. 좀 더 많은 인물에 대해 알고 싶은 것은 나만의 욕심인건지. 그리고 또 하나 아쉬었던 점은 제왕들이 어떤 책을 주로 읽었는지 이 책을 통해 알수는 있었지만, 책의 비중보다는 왕의 행적이나 업적의 비중이 더 높았다는 점이다. 물론 이 점은 달리 해석해 볼 수도 있다. 이러 이러한 책으로 인해 이러한 업적을 남겼다고 말이다. 자료의 제한과 공부 부족이라는 현실적인 장벽을 극복하지 못했다는 저자의 말을 접하며, "내 말이~"라고 혼자서 안타까워해보지만, 그래도 이 책으로 인해 제왕의 책이라는 이색적인 부분에까지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있지 않았나 싶다.
왕들이 읽었던 책들은 많은 공통점을 지니고 있었다. 역대 제왕들에게 책이란 흥미위주로 읽거나 지식이나 교양을 얻는 매체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어쩌면 그건 당연한건지도 모르겠다. 제왕이라는 자리에서 바라본 책은 '책이상의 그 무언가'의 가치를 지닌 존재였을꺼라 생각되기 때문이다. 아니나 다를까 왕들은 그 책을 통해 통치술을 배우고, 처세술을 익힌다. 왕들이 접했던 책들은 다양했지만, 읽은 책들은 비슷했다. 그 중에서도 왕들이 좋아하고 자주 접하고 거론했던 책들을 하나씩 꼽고 있어 그 책들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는 계기도 되었다. 실제로, 각장이 끝날때마다 왕들이 주로 읽었던 책에 대해서 두페이지 정도로 소개해 주고 있다. 그 덕분에 그 책이 왕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뿐만이 아니라, 그 책 자체에 대해서도 알 수 있어 좋았던 것 같다. <정관정요>, <대학연의>, <자치통감>, <소학>, <춘추>,<주역>, <심경>, <예기>, <서경>, <효경/조선책략> 의 책들은 사실 대부분이 생소했는데 이 책의 도움으로 조금이나마 지식을 쌓을 수 있어 의미있는 시간이었다.
어떤책을 읽으냐에 따라 통치스타일이 달라지고, 사상이 달라지니 제왕의 책은 그저 책이 아니라는 생각이 강하게 든다.
가장 인상깊게 읽었던 부분은 '세종'에 관련된 부분이었다. 훈민정음을 창제했던 분이어서 그랬던 탓도 있지만, 방대한 독서량을 보면서 '역시'라는 고개를 끄덕이게 만든 분이셨기 때문이다. 본인 스스로 경서는 모두 100번씩 읽었고, 딱 한가지 책만 30번 읽었으며, 경서 외에 역사서와 기타 다른 책들도 꼭 30번씩 읽었다고 했다. 한번 읽은 책은 다시 집어들지 않고, 그나마 두세번 읽는 책들이라고 해봐야 잘 이해되지 않고 난해해 두고 두고 보려고 놔둔 책 몇권이 고작인 나로서는 '우와'라는 말이 절로 나올 수 밖에.
또한, 다른 왕들과 달리 세종이 정독한 <자치통감>은 중국 북송의 사마광이 군왕의 통치에 도움을 주기 위해 48세 때 시작해 죽기 직전까지 무려 19년 동안에 걸쳐 완성한 역사책으로 총 294권에 이른다는 것이다. 10권, 20권짜리가 아닌 294권짜리 <자치통감>을 정독하고 더 나아가 이 책에 주석을 단 <자치통감훈의>편찬을 주도했다니, 예사 인물이 아니었음에 틀림없다.
백성을 생각하는 마음이 뛰어나신 분이신데다, 많은 업적을 남기신 분이시라 이미 존경하고 있었지만, 이번기회에 또 다른 부분을 보고서 깨닫는바가 크다.
이렇듯, 책속에서 나는 제왕과 그 제왕의 책을 만난다. 때론 실용서로, 때론 정치적 도구로 사용되어진 이러한 제왕의 책들을 보면서 책이 인간에게 주는, 독서가 인간에게 주는 힘에 대해 느끼며, 많은 생각들을 해본다. 그런데 책을 덮으면서 든 엉뚱한 생각하나. '그런데 제왕들은 이런 책들만 읽었을까?'
내 눈에 비친 이런 책들은 머리아픈 책들인데, 역시 책들도 주인을 잘 만나야 되나 보다. <제왕의 책>과 함께한 역사여행은 '제왕'과 '책'이라는 특별한 만남처럼 나에게도 특별한 의미로 다가왔다.
by 북카페 책과 콩나무-별이(rubiya79)
'[서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st of 55(세일즈 전문가들의 올림피아드) (0) | 2007.12.31 |
---|---|
경제학 산책 (0) | 2007.12.31 |
하늘색 히치하이커 - 캐딜락, 나도 얻어타도 될까? (0) | 2007.12.31 |
비유와 상징으로 풀어 보는 철학 이야기 (0) | 2007.12.31 |
스칼렛 길리아 - 아침드라마 한편을 본 듯한 느낌 (0) | 2007.12.31 |